공부기록
Servlet-Tomcat
Apache - 설치한 컴퓨터를 웹서버로 만들어 주는 역할 http프로토콜을 이용한 호출 신호가 들어오면 설정에 따라 웹페이지(정적 웹페이지)를 전송해주는 일 TOMCAT - 아파치서버와는 다르게 WAS라고 해서 자바코드를 이용해 DB연결, 다른 응용프로그램과 상호 작용 등 동적인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음 WAS(Web Application Server)는 웹서버와 웹 컨테이너의 결합으로 다양한 기능을 컨테이너에 구현하여 역할 수행을 할수 있는 서버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을 때 내부의 프로그램을 통해 결과를 만들어내고 다시 전달 ** Apache - 정적인 데이터 처리, 이미지나 단순 html파일을 처리하는데는 WAS보다 빠르고 안정적 Tomcat(WAS) - 동적인 데이터처리, DB와 연결되어 데어터 ..
제네릭(2)
제한된 타입 파라미터 타입 파라미터를 구체적으로 지정하여 제한 ex) 계산기 구현할 때 숫자만을 지정하기 위해서 매개변수로 Number로 제한 클래스 인터페이스 모두 가능 *인터페이스라고 implements사용X 오로지 extends만 사용 public class study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Util.compare(10,20)); System.out.println(Util.compare("apple", "orange"));//error } } class Util{ public static boolean compare(T t1, T t2){ return Double.compare(t1.doubleValue(), ..
html 실습
home.html 검색 HOME ABOUT SERVICE CONTACT 총알오징어, 세마리에 만원 우리는 전기를 이용해 실수인척 새끼 오징어를 불법 포획합니다 지금까지 해먹은 돈 $128,021 씨를 말린 오징어 마릿수 93,234 최종 목표 마릿수 100,000+ 와사비 간장 57,221,084 ABOUT 우리는 재규어처럼 재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오징어를 낚아챕니다 치밀한 계획 우리는 계획적으로 단속을 피해서 치밀하게 일을 처리합니다 More 은신 기술자 확보 우리는 언제든지 환술에 걸린것처럼 순식간에 사이에서 사라질 수 있습니다. More 한번에 쓸어담기 다량의 오징어를 한번에 싹쓸이 하여 시중에 유통할 수 있는 기술력이 있습니다 More SERVICE 엄격한 유통과정으로 까다로운 미식가들에게 납..
제네릭(1)
제네릭을 사용하는 이유 잘못된 타입이 사용될 수 있는 문제를 컴파일 과정에서 제거할 수 있음 타입변환을 제거할 수 있음 List list = new ArrayList(); list.add("hello"); Strign str = (String) list.get(0); //List에 저장되는 요소를 String타입으로 변환하지 않아도 된다. List list = new ArrayList(); list.add("hello"); String str = list.get(0); 하나의 메소드로 여러 타입을 다룰 수 있음 public class Box{ private T t; public T get() { return t; } public void set(T t) { this.t = t; } } 에서 T에 wra..
스레드(3)
우선순위 우선순위를 직접 지정하기 위해서 setPriority()사용해서 직접 상수 혹은 Thread.MAX_PRIORITY와같은 클래스 상수 사용 Synchronized(동기화) 여러 스레드가 하나의 객체에 접근을 하려고 할 때 값의 잘못된 변경을 막기 위해서 스레드를 잠금 동기화를 설정하는 것은 인스턴스, 정적메소드 어디든 붙일 수 있다. public synchronized void method(){ //하나의 스레드만 실행가능 } public void method(){ //여러 스레드 실행가능 synchronized(공유객체){ //하나의 스레드만 실행가능 } } 스레드 상태 실행 대기 - notifyAll(), notify(), yield() : 양보 후 대기 일시정지 - sleep(long ti..
html(3) - 폼
- data를 적을 수 있는 공란 만들기 type - text, passwor, submit(제출버튼) 속성 값으로 name을 지정해서 서버로 전송 value - default value 지정 - 어디로 전송할지 지정, action="이동할 url주소" - 여러줄로 작성 가능 기본값은 value로 속성 지정이 아니라 태그 사이에 작성 - dropdown list생성 select - name속성 지정, multiple속성 지정하면 다중선택 가능 option - value속성 * name - 변수이름과 같은 것 * value - 해당 컨트롤에 글씨 띄우기 ---------------- 나머지 태그랑 css는 실습해보면서 직접 알아볼 것 모든 것을 굳이 다 공부해야 할 필요성은 모르겠음
html(2) - 태그2
추가적인 태그들 - 단락 나누기 - 줄바꿈, 여러개 같이 사용가능, 닫힘 태그 없음 - 이미지추가, src="위치주소", width, height, alt, title - table 지정 - table row지정 - table 내용 하나마다 전부 지정 (table data) - 어디에 적더라도 위치는 고정된 상태로 나옴 - thead 내에 data에 지정 표 병합 속성 rowspan="number" - number 만큼 병합 ex) 2개 행 병합, 병합된 것은 하나만 적으면 됨 열은 colspan
html (1) - 태그
태그는 ~로 이루어짐 아래 모든 것들은 밑에 작성 1. 문서관련 - 밑에 작성 - 웹페이지 제목 지정 - 글씨 깨지면 작성 2. 본문 - 밑에 작성 기본태그 제목 - 소제목으로 만들 수록 숫자가 1,2 순서로 이어나가면됨 (header) 글씨 굵기 - 링크 연결(하이퍼텍스트) - , 속성 target="_blank" 새로운 창으로 연결, title="~~~" 링크 설명 태그 추가 (anchor) 오늘의 명언 우리 모두는 자신의 힘으로 발견한 내용을 가장 쉽게 익힌다. (도널드 커누스) 목록태그 - 목록으로 ●을 앞에 표시 (list) - 그룹으로 묶기? (unordered list) - 순서지정 (ordered list), 1. 2. 3. ..... 기술소개 기본문법 하이퍼텍스트와 속성 리스트와 태그의 ..
html 시작
가볍게 스프링을 인강을 들으면서 공부를 하는 와중에 html파일을 만들고 웹을 연결하면서 html의 이해가 없음을 알게 되었다. 많은 로드맵들을 찾아보면서 백엔드 분야에서도 html/css/js정도는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보고 시작할려고 한다. 오직 난 백엔드를 갈거야 라는 생각으로 프론트엔드 분야의 공부를 하나도 하지 않은 것이 나의 가장큰 잘못이다. 매우 깊게는 배우지 않더라도 적어도 구동이 어떻게 되는지 어떤식으로 페이지를 만드는지에 대한 것을 알고 있어야 나중에 내가 무언가를 만들고 화면에 띄우는 것을 할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회사를 들어가면 내가 직접 만들일이 없을 수도 있을 수도 있지만 현재는 누군가와 협업을 하거나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분야를 나눠가며 일을 하는 것이 아니..
스레드(2) - Runnable(Interface) vs Thread (Class)
Interface 와 Class의 차이 - 다중상속이 가능하냐 불가능 하냐 정도? - 작은 프로젝트을 만드는데 있어서는 어떤 것을 사용하냐에 대해선 취향차이 일수도 있지만 큰 프로젝트에서는 여러 기능을 따로 만들어 상속받는데 있어서 클래스는 다중상속이 안되서 인터페이스가 더욱 유리 아무래도 인터페이스 사용하면 코드에 대한 재사용성?이 더 높을수도 이정도 일려나? 추가적으로 Runnable을 사용함에 있어서 클래스를 추가를 하는 것이 아니라 익명의 개체를 매개변수로 직접 넣는것은 간단한 작업을 하는 것 아니면 되도록이면 사용을 안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