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SQLD(3)-SQL기본3
ROWNUM, ROWID ROWNUM - 논리적인 일련번호 부여, 조회할 행이 많을경우 사용 페이지 단위 출력을 위해서는 인라인 뷰(FROM절에 사용되는 서브쿼리) 사용 *오라클에서는 rownum을 사용하지만 SQLSERVER는 TOP을 MySQL은 LIMIT을 사용 ROWID -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는 유일한 값, 데이터 입력하면 자동 생성되는 값 어떤 데이터 파일에 어떤 블록에 저장되어 있는지 알수 있음 WITH구문 임시테이블이나 뷰처럼 사용할수 있는 구문 WITH NAME AS ( SELECT FROM WHERE ) DCL 권한 부여 - GRANT * GRANT 권한 ON TABLE_NAME TO USER WITH GRANT/ADMIN OPTION 권한의 종류로는 SELECT,..
SQLD(2)-SQL기본2
WHERE문 비교연산자 부정비교연산자 - !=, ^=, , NOT COLUMN_NAME 네개모두 같음 논리연산자 - AND, OR, NOT sql연산자 - LIKE 'VALUE', (NOT) BETWEEN A AND B, (NOT) IN(list), IS (NOT) NULL * LIKE문은 와일드카드(%, _)를 사용 - % : 어떤문자 모든것 포함 , _ : 하나의 단일 문자포함 * BETWEEN은 이상, 이하 -> NOT이 붙으면 당연히 포함 X NULL함수 NVL - NULL이면 다른값으로 변경, NVL(COLUMN_NAME, VALUE) NVL2 - NVL+DECODE, NVL2(COLUMN_NAME, 1, 0) NULL이 아니면 1, NULL이면 0 NULLIF - 두개 값이 같으면 NULL 다..
SQLD(3)-SQL기본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의 종류 - 계층형(tree형태 1:N, 부모자식관계표현 쉬움), 네트워크형(Owner-Member형태로 저장 1:N, N:M), 관계형(relation에 저장관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연산 - 집합연산, 관계연산 집합연산 - 합집합, 차집합, 교집합, 곱집합 관계연산 - 선택연산(행(tuple) 조회), 투영연산(조건에 맞는 열(attribute) 조회), 결합연산(join), 나누기연산(중복된 행제거) 테이블 구조 - PK, Row(Tuple), Column(Attribute), FK(타 테이블 PK참조 - join연산 사용) SQL종류 DDL - 데이터베이스 구조 정의( CREATE, ALTER, DROP, RENAME ) DML - 데이터 관리( INSERT, UP..
SQLD(2)-데이터 모델과 성능
정규화 - 함수적 종속성을 근거로 진행 *함수적 종속성 - x가 변화하면 y가 변화한다 => x는 y를 함수적으로 종속한다. ex) 회원아이디(pk) 변경시 회원 이름도 변경 목적 - 데이터의 일관성, 데이터 중복 최소화, 데이터 유연성 최대화를 위한 데이터 분해 비지니스에 변화가 있더라도 데이터 모델의 변경을 최소화 1~5정규화까지 있으나 대체적으로 3정규화를 넘기지 않음 정규화를 하지 않으면 불필요한 데이터의 입력 - (Anomaly)문제가 발생 분해를 하더라도 join을 통해서 다시 합쳐서 볼 수 있음 제1정규화 완전한 함수 종속성을 이룰 수 있는 pk를 지정 이때 pk는 2개 이상이여도 됨 *Account -> AccountName and Money ID -> name 제2정규화 pk가 2개 이상..
SQLD(1)-데이터 모델링
모델링의이해 3층스키마 엔터티 속성 관계 관계차수 식별자 모델링의이해 데이터베이스 표현 의해서 추상화 특징 - 추상화(간략하게 표현) 단순화(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 명확성(한 가지 의미를 지님) 모델링 단계 - 독립적으로(중복제거), 간결하게 표현 개념적 모델링 - 엔터티와 속성 도출 개념적, ERdiagram 작성 - 추상화 수준이 가장 높음 논리적 모델링 - 식별자 도출, 릴레이션 정의, 독립성 확보 - 정규화를 통해 재사용성 높임 물리적 모델링 - 테이블 인덱스 함수 생성 *ERdiagram 작성 절차 - 쉽고 간단하게 엔터티 도출, 배치(중요한 것을 왼쪽 상단)-> 관계 설정-> 관계 서술(어떠한 행동)-> 참여도와 필수 여부 표현( ex) 1:M M:1) 3층 스키마 - 외부 스키마, 개..
제네릭(2)
제한된 타입 파라미터 타입 파라미터를 구체적으로 지정하여 제한 ex) 계산기 구현할 때 숫자만을 지정하기 위해서 매개변수로 Number로 제한 클래스 인터페이스 모두 가능 *인터페이스라고 implements사용X 오로지 extends만 사용 public class study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Util.compare(10,20)); System.out.println(Util.compare("apple", "orange"));//error } } class Util{ public static boolean compare(T t1, T t2){ return Double.compare(t1.doubleValue(), ..
html 실습
home.html 검색 HOME ABOUT SERVICE CONTACT 총알오징어, 세마리에 만원 우리는 전기를 이용해 실수인척 새끼 오징어를 불법 포획합니다 지금까지 해먹은 돈 $128,021 씨를 말린 오징어 마릿수 93,234 최종 목표 마릿수 100,000+ 와사비 간장 57,221,084 ABOUT 우리는 재규어처럼 재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오징어를 낚아챕니다 치밀한 계획 우리는 계획적으로 단속을 피해서 치밀하게 일을 처리합니다 More 은신 기술자 확보 우리는 언제든지 환술에 걸린것처럼 순식간에 사이에서 사라질 수 있습니다. More 한번에 쓸어담기 다량의 오징어를 한번에 싹쓸이 하여 시중에 유통할 수 있는 기술력이 있습니다 More SERVICE 엄격한 유통과정으로 까다로운 미식가들에게 납..
제네릭(1)
제네릭을 사용하는 이유 잘못된 타입이 사용될 수 있는 문제를 컴파일 과정에서 제거할 수 있음 타입변환을 제거할 수 있음 List list = new ArrayList(); list.add("hello"); Strign str = (String) list.get(0); //List에 저장되는 요소를 String타입으로 변환하지 않아도 된다. List list = new ArrayList(); list.add("hello"); String str = list.get(0); 하나의 메소드로 여러 타입을 다룰 수 있음 public class Box{ private T t; public T get() { return t; } public void set(T t) { this.t = t; } } 에서 T에 wra..
스레드(3)
우선순위 우선순위를 직접 지정하기 위해서 setPriority()사용해서 직접 상수 혹은 Thread.MAX_PRIORITY와같은 클래스 상수 사용 Synchronized(동기화) 여러 스레드가 하나의 객체에 접근을 하려고 할 때 값의 잘못된 변경을 막기 위해서 스레드를 잠금 동기화를 설정하는 것은 인스턴스, 정적메소드 어디든 붙일 수 있다. public synchronized void method(){ //하나의 스레드만 실행가능 } public void method(){ //여러 스레드 실행가능 synchronized(공유객체){ //하나의 스레드만 실행가능 } } 스레드 상태 실행 대기 - notifyAll(), notify(), yield() : 양보 후 대기 일시정지 - sleep(long ti..
html(3) - 폼
- data를 적을 수 있는 공란 만들기 type - text, passwor, submit(제출버튼) 속성 값으로 name을 지정해서 서버로 전송 value - default value 지정 - 어디로 전송할지 지정, action="이동할 url주소" - 여러줄로 작성 가능 기본값은 value로 속성 지정이 아니라 태그 사이에 작성 - dropdown list생성 select - name속성 지정, multiple속성 지정하면 다중선택 가능 option - value속성 * name - 변수이름과 같은 것 * value - 해당 컨트롤에 글씨 띄우기 ---------------- 나머지 태그랑 css는 실습해보면서 직접 알아볼 것 모든 것을 굳이 다 공부해야 할 필요성은 모르겠음